센서의 데이터를 LTE를 이용한 IoT로 수집하려고 할 때, 센서의 데이터가 유선 인터넷망으로 전달되며 거치는 과정
기지국(eNode) -> S-GW -> P-GW
- GTP tunnel 을 통한 전송
"단말이 보낸 IP 패킷은 Destination IP 주소값에 상관없이 항상 eNB(기지국)을 통해 P-GW까지 전송된다
1. UE -> eNB
UE가 Destination IP(구글 IP주소) 로 패킷을 eNB로 전송
2. eNB -> S-GW
UE로부터 IP 패킷을 수신한 eNB는 "UE가 보낸 IP패킷" 앞에 "GTP 헤더", "UDP 헤더"와 "GTP tunneling을 위한 헤더"를 붙임
3. S-GW -> P-GW
S-GW는 eNB로 부터 수신한 패킷에 GTP헤더, (tunnel ID), IP 헤어를 수정 추가
4. P-GW -> 구글
원래 UE의 패킷이 P-GW로 전달
P-GW는 Outer IP header/UDP header/GTP header를 모두 제거, 원래 UE가 보낸 IP 패킷을 인터넷으로 전달
* 터널 일반적으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.
이동통신망에서 자체 회사망에 연결되어 있을 때, 반드시 어떤 경로로만 가야하는 필요성이 있을 때 특정 구간에서 터널 만든다. 터널 : SGW-PGW-인터넷 이기 때문에 Data Plane에만 해당된다
센서 데이터 전송은 “QoS 품질을 보장하여” 안정적으로 전달되어야 한다
이를 위해 거쳐야 할 과정
dedicated EPS bearer
'사물인터넷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iFi AP(공유기) (0) | 2022.01.22 |
---|---|
주요 WiFi 규격 (0) | 2022.01.22 |